728x90
1. const(constant: 상수)
- 상수 : 변하지 않고 항상 같은 값을 가지는 수를 말한다.
const player = "tomato";
console.log(player); // tomato
※ const 변수는 값을 재선언을 할 수 없으며, 재할 당도 불가능하다.
- 변수 재 선언시 SystaxError 발생
const player = "tomato";
console.log(player); // tomato
const player = "banana";
console.log(player); // Uncaught SyntaxError: Identifier 'player' has already been declared
- 재 할당 시, TypeError 발생
const player = "tomato";
console.log(player); // tomato
player = "banana";
console.log(player); // Uncaught TypeError: Assignment to constant variable.
2. let (변수)
- let은 변수 값에 재할당이 가능하다.
let name = ("apple");
console.log(name); //apple
name = ("lemon");
console.log(name); // lemon
- 변수 값 재 할당하여 정상적으로 출력되는 걸 확인할 수 있다.
- 단, 변수를 재선 언 할 수는 없다 (SyntaxError) 발생
let name = ("apple");
console.log(name); //apple
let name = ("strawberry");
console.log(name); //Uncaught SyntaxError: Identifier 'name' has already been declared
3. var (변수)
- var은 변수, 재할당 모두 다 가능
var name = ("apple");
console.log(name); // apple 출력
var name = ("banana");
console.log(name); // banana 출력
name = ("tomato");
console.log (name); // tomato 출력
정리
- var 키워드보다는 let과 const 키워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.
만약변하지 않는 값이면 const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. 중간에 재할당하여 변경이 필요한 경우 let을 사용한다.
728x90
'Front-end Developer > Java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Javascript - forEach (0) | 2023.11.28 |
---|---|
[Javascript] DOM이란 무엇인가? (0) | 2023.11.05 |
[Javascript] Javascript란 무엇일까? (0) | 2023.11.03 |
Javascript - [.getElementById, function] (0) | 2023.10.31 |